내장형 하드웨어/MindStorm

mindstorms, 변수형 비교

동화다아아 2011. 3. 25. 17:10

 

mindstorms 실습

RoboArm T-56 제작

guide line에 따른 조립 및 프로그램

 

실행과정 동영상

라이트 센서가 빨간색을 인식하고 공을 들어 옆으로 옮겨 놓는 과정


라이트 센서 를 이용해 파란 볼은 확인후 옮기지 않고 도로 내려 놓는 과정


터치 센서가 공으로 다가가 공을 잡고 옆의 받침대로 옮기는 과정 구현

 


C 프로그래밍 수업

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)

{

        char cNum; //메모리에 cNum이란 이름으로 1byte 할당

        cNum = 127; //cNum에 127을 대입

        printf("%d",cNum); //cNum값을 10진수 정수형으로 출력

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return 0;

}

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)

{

        unsigned char cNum; //메모리에 cNum이란 이름으로 1byte 할당

        cNum = 127; //cNum에 127을 대입

        printf("%d\n",cNum); //cNum값을 10진수 정수형으로 출력

        cNum = 255;

        printf("%d\n",cNum); //char는 1byte 이므로 255까지 표현할 수 있고 127보다 커지면 -가


붙으며 줄어든다.

        cNum = 128;

        printf("%d\n",cNum);


        return 0;

}

        unsigned char cNum; // unsigned는 양수로 쓰겠다는 뜻.

        signed char cNum; // signed를 첨부한것과 생략하고 변수만 사용하는 값은 같다.

        char cNum; //

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)

{

        unsigned char cNum; //메모리에 cNum이란 이름으로 1byte 할당

        //signed char cNum; //

        //char cNum; //

        cNum = 127; //cNum에 127을 대입

        printf("%d\n",cNum); //cNum값을 10진수 정수형으로 출력

        cNum = 255;

        printf("%d\n",cNum); //char는 1byte 이므로 255까지 표현할 수 있고 127보다 커지면 -가 붙으며 줄어든다.

        cNum = 128;

        printf("%d\n",cNum);

        cNum = 256;

        printf("%d\n",cNum);

        cNum = 257;

        printf("%d\n",cNum);

        cNum = 0;

        printf("%d\n",cNum);

        cNum = cNum-1       ;

        printf("%d\n",cNum);




        return 0;

}

 

char 변수 사용시 127을 넘어가면 -128, -127, -126...-1로 나타난다.

→ 즉 0과 255는 연결되어있고 이것이 반복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. (1byte의 경우.) 

short 변수 사용시 32767을 넘어가면 -32768,-32767....-1로 나타난다.

→ 즉 0과 65535는 연결되어있고 이것이 반복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. (2byte의 경우.)        

1byte = 8bit = 28 = 256(0~255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216 = 65536(0~65535)

즉, unsigned 일 때 -1장 큰수로 나타난다.(해당 변수 범위의)

평상시에는 변수 앞에 signed를 생략하고 있다.

signed는 해당 변수의 양의 정수를 선언

unsigned는 해당 변수의 정수를 선언


#include<stdio.h>

int main()

{

        //unsigned short sNum; //2byte 32short형 양수 sNum이란 이름 선언

        signed short sNum;

        sNum = -1; //-1을 sNum에 대입

        printf("%d\n", sNum);

        sNum = 32767;

        printf("%d\n", sNum);

        sNum = 32768;

        printf("%d\n", sNum);

        sNum = 32769;

        printf("%d\n", sNum);



        return 0;

}

 


변수 : 변하는 숫자를 기억한다.

        (ex. cNum = -1이라 하면 255가 저장되며, 100을 넣으면 100이 저장된다.)

변수선언 사이에 다른 명령문을 넣어서는 안된다.

#include<stdio.h>

int main()

{

        unsigned char cNum; //1byte char형 양수 cNum이란 이름 선언

        unsigned short sNum; //2byte short형 양수 sNum이란 이름 선언

        unsigned int iNum; //4byte int형 양수 iNum이란 이름 선언


        cNum = -1;

        sNum = -1;

        iNum = -1;


        printf("cNum:[%d], sNum[%d], iNum[%d]\n", cNum, sNum, iNum);

        sNum =cNum;(sNum에게는 cNum의 대입은 255의 대입과 같다.)

        printf("cNum:[%d], sNum[%d], iNum[%d]\n", cNum, sNum, iNum);


        return 0;

}

 

char, short, int 각각의 표현가능한 최대수와 바이너리 값을 찾기 위해서는 unsigned 에 -1 을 넣으면 된다. 최대값에 반이 바이너리 값이다.